1. 비옥한 토지를 가진 프랑스는 중농주의가 발달하고, 스페인, 포르투갈은 중상주의가 발달한다. (10점)
①X
②O
정답 : 2번
해설: 비옥한 토지를 가진 프랑스는 중농주의가 발달하고, 스페인, 포르투갈은 중상주의가 발달한다. 우리나라도 18세기에 실학의 등장으로 중농주의학파와 중상주의학파가 나오게 된다.
2. 애덤 스미스는 정부가 규제를 통해서 독과점하는 것을 반대했다. (10점)
①X
②O
정답: 2번
해설: 애덤 스미스는 독과점하는 것을 반대하였으며, 자유로운 시장경제를 옹호했다.
3. 규모의 경제는 경제 규모의 크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제품의 단가가 올라간다는 것이다. (10점)
①X
②O
정답: 1번
해설: 규모의 경제는 경제 규모의 크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제품의 단가가 내려간다는 것입니다. 한국경제는 규모의 경제를 통해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4.
다음 케인즈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0점)
①케인즈는 유효수요의 창출을 통해 경제의 선순환을 일으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②‘작은 정부, 큰 시장’이라는 말로 설명할 수 있다.
③케인스는 정부가 재정지출을 늘리는 방안을 선호했다.
④케인스는 과잉생산 상태에서 저축이 늘어나고 소비가 현저하게 줄어들 경우, 갑작스러운 경기침체와 공황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았다.
정답:2 번 해설: '작은 정부, 큰 시장’은 신자유주의에 대한 설명이다.
5. 기회비용에 대해 제대로 설명하고 있는 것은? (10점)
①재화가 두 개일 때 어떤 재화를 선택함으로 포기되는 재화의 가치를 기회비용이라고 한다.
②기회비용은 명시적 비용만 적용하면 된다.
③너무나 많아서 기회비용인 0인 재화를 불용재라고 한다.
④만 원, 5천 원, 천 원이 있고 셋 중 하나만 선택할 수 있을 때, 내가 만 원을 선택한다면 기회비용은 6천 원이 된다.
정답: 1번
해설: 재화가 두 개일 때 어떤 재화를 선택함으로 포기되는 재화의 가치를 기회비용이라고 한다. 재화가 여러 개일 때는 어떤 하나의 재화를 선택함으로써 포기되는 재화의 가치 중 가장 큰 재화의 가치를 말한다.
6. 경제재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0점)
①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가격이 결정된다.
②희소성이 거의 없어 쉽게 활용할 수 있다.
③유용성이 없어도 수요에 의해 비싸게 판매되는 경우가 있다.
④시장을 통해 가치를 평가받는다.
정답: 2번 해설 : 희소성이 거의 없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자유재이다.
7. 가수요는 구입할 의사와 구입할 능력이 있는 수요이다. (10점)
①O
②X
정답: 2번 해설: 구입할 의사와 구입할 능력이 있는 수요는 유효수요이다. 가수요는 지금 당장 필요가 없으면서도 일어나는 예상수요이다.
8. 다음 가격탄력적 제품의 특징으로 맞지 않는 것은? (10점)
①여성 정장, 자동차 등이 탄력적 제품이다.
②서비스 경쟁보다 가격경쟁을 한다.
③대체재가 많다.
④전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다.
정답: 4번 해설: 탄력적 제품은 전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9. 외환시장은 완전경쟁시장과는 거리가 멀다. (10점)
①O
②X
정답: 2번 해설: 외환시장은 완전경쟁시장에 가깝다. 그 이유로 달러를 많이 구입한다고 해서 가격이 오르지 않으며, 헌 지폐나 새 지폐의 가치는 같고 모든 정보가 공개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10. 다음 독점적 경쟁시장의 4가지 특징이 아닌 것은? (10점)
①진입장벽 부재
②다수의 시장 참여자
③순응적 가격
④이질적 제품
정답: 3번 해설: 독점적 경쟁시장의 특징은 다수의 시장 참여자, 진입장벽 부재, 이질적 제품, 제한적 가격결정권이 있다.
'자격증 공부 > 직업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SMART 경영을 위한 전략적 기술경영(MOT) - 진행평가 (0) | 2020.11.25 |
---|---|
15.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 최종평가 (0) | 2020.11.25 |
13. 스마트사원이 알아야할 알기쉬운 경영지식 100가지 - 과제C형 (0) | 2020.11.24 |
★★내일배움카드 구직자 -> 근로자 변경과 직업교육 신청과정 (0) | 2020.11.20 |
12. Office 워드 2019 워커홀릭에서 스마트홀릭으로 가즈아! - 최종평가 (0) | 202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