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공부/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 1급34 한국사 요약 ) 고려시대, 개항기 사회제도/문화 20. 사회제도, 문화 (1)고려시대 ①상평창 (성종): 물가 조절 기관 ②흑창 (태조) -> 의창 (성종): 구휼제도 ③동서 대비원: 개경에 설치, 질병 치료 ④혜민국: 서민 질병 치료, 병자에게 의약품 제공 ⑤구제도감, 구급도감: 각종 재해시 백성을 구제하는 임시기구 ⑥제위보: 빈민구제 재단 (2)개항기 ①교통, 통신, 전기 -경인선(1899), 경부선(1905), 경의선(1906) -우정총국(1884) ②의료: 광혜원 (알렌이 세운 최초의 서양식 병원) -> 제중원으로 명칭 변경 ③근대시설(1883) -기기창, 전환국(화폐), 박문국(한성순보) ④근대교육 -원산학사(1883): 최초의 근대식 사립학교, 원산에 설립 -육영공원(1886): 최초의 근대식 공립 교육기관, 할버트, 길모어 등 외국인 교사.. 2020. 10. 26. 한국사 요약 ) 통일정부 수립 노력 순서 19. 통일정부 수립 노력 순서 (1)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1945.12) ①미소 공동 위원회 설치 (덕수궁 석조전에서 출범): 최고 5년 기한 4개국의 한반도 신탁 통치 결정 ②국내에서는 신탁통치를 반대하는 우익과 지지하는 좌익이 서로 대립함 (2)제1차 미소 공동위원회(1946. 3) ①3국 외상 회의 결정에 따라 한국에 임시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개최 ②임시정부 수립 참가 단체를 둘러싼 대립으로 무기한 휴회 (3)이승만의 정읍발언(1946. 6) ①제1차 미소 공동위원회 결렬 후 ②남한 만의 단독정부 수립 주장 (4)좌우 합작 운동(1946 ~ 1947) ①신탁 통치 문제로 좌우익 대립이 심화됨 ②좌파 여운형과 우파 김규식이 좌우 합작 위원회 결성 ③좌우 합작 7원칙 발표 사료) ‘조선의 민주 독.. 2020. 10. 26. 한국사 요약 ) 고대국가, 고려시대 전투 18. 전투 (1)고대국가 ①광산성전투: 백제 성왕과 신라 진흥왕때 신라와 백제가 연합하여 한강유역을 일시 회복 -> 신라 진흥왕의 배신으로 백제 성왕 전사 ②대야성전투: 신라 선덕여왕때 백제 의자왕의 공격으로 신라 대야성 등 40여성이 함락되자 선덕여왕은 김춘추를 고구려에 파견하여 동맹을 요청하였으나 실패, 후에 진덕여왕때 김춘추를 당에 파견하여 나당연합 결성 ③중국 수나라 vs 고구려: 수 양제가 고구려 평양성 공격 -> 을지문덕의 살수대첩으로 고구려 승리 -> 수멸망, 당건국 ④안시성싸움: 연개소문 정변을 구실로 당나라가 고구려 공격-> 고구려 요동성 합락, 안시성싸움에서 고구려가 승리하고 당 철수 ⑤황산벌전투: 계백의 백제군이 김유신의 신라군에 맞서 황산벌전투 -> 백제의 수도 사비성이 함락되어 .. 2020. 10. 26. 한국사 요약 ) 5세기 고구려의 전성기 - 광개토대왕, 장수왕 17. 5세기 고구려 전성기- 광개토대왕, 장수왕 (1)광개토 대왕 (‘영락’ 대왕) ①백제를 공격하여 한강 이북지역 차지 ②신라에 침입한 왜군, 가야 격퇴 (신라 내물왕) -> 금관가야 쇠퇴 (2)장수왕 ①백제와 신라를 압박하고자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 -> 나제 동맹 결성 (신라 눌지왕과 백제 비유왕) ②백제 한성을 함락하고 개로왕을 죽임 -> 한강차지 (475) 사료 ) ’고구려왕 거련(장수왕)이 몸소 군사를 거느리고 백제를 공격하였다. 백제왕 경이(개로왕) 아들 문주를 신라에 보내 구원을 요청하였다’ ③개로왕의 아들 문주왕, 웅진 천도 (475) ④동성왕(5세기), 신라(소지왕)와 혼인관계를 맺어 나제동맹 강화 2020. 10. 26. 한국사 요약 ) 사림의 대두, 사화, 붕당, 예송, 환국의 전개 16. 사림의 대두, 사화, 붕당, 예송, 환국의 전개 (1)훈구와 사림 ①훈구: 조선 건국에 참여한 급진파 사대부 계승 ②사림: 조선 건국에 반대한 온건파 사대부 계승 ③세조의 집권을 도운 훈구 세력이 정치를 장악하자 이를 견제하기 위해서 성종때부터 사림이 등용되었고 주로 3사에 배치되어 훈구세력의 비리를 비판하는 역할을 하였음 ④ 사림은 훈구와의 대립으로 여러차례 사화를 겪었음 (2)16세기 전반 사화발생 (3)16세기 후반, 동⦁서 붕당 (1575~) ①선조때 사림이 중앙정계를 장악한 후 척신 (임금의 외척이 되는 신하) 정치 처리 문제와 이조전랑 임명 문제 (사림 김효원과 심의겸)로 사림이 동인 (김효원을 지지)과 서인 (심의겸을 지지)으로 나뉘면서 붕당 정치 시작 (4)1589, 정여립 모반사건.. 2020. 10. 26. 한국사 요약 ) 중농학파, 중상학파 요약 15. 실학 (1)중농학파: 유형원, 이익, 정약용 ①유형원: 반계수록 저술, 균전론(신분에 따른 토지의 차등 분배) ②이익: 성호사설 저술, 한전론(매매금지), 나라를 좀먹는 여섯가지 폐단 지적 ③정약용 -여전론 주장(토지 공동소유, 공동경작 후 노동량에 따라 수확량 분배), -정전론 주장(전국 토지를 국유화 한 후 분배) -목민심서, 경세유포 저술 (2)중상학파: 유수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①유수원: 우서 저술, 사농공상의 직업적 평등 주장 ②홍대용: 의산문답 저술, 지전설을 주장하고 혼천의 제작 ③박지원: 열하일기, 양반전, 허생전 ④박제가: -북학의 저술 -절약보다 소비를 통한 생산력 증대 필요성 주장 -수레와 선박의 이용 확대 등을 주장 2020. 10. 26. 한국사 요약 ) 고대국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반란 정리 13. 반란 (1)고대국가 ①연개소문의 정변: 당의 침입에 대비하여 천리장성을 쌓던 중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영류왕을 제거하고 보장왕을 세움 (2)통일신라 ①김흠돌의 난: 신문왕 때 ②김헌창의 난, 장보고의 난 (청해진), 원종과 애노의 난 (진성여왕 때 사벌주에서), 적고적의 난 ->통일신라말 (3)고려시대 ①왕규의난 ②강조의 정변: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거란이 2차 침입 ③무신집권기 반란: 망이 망소이의 난(공주명학소), 만적의 난(최충헌의 노비 만적), 김사미, 효심의 난(신라 부흥을 외치며 봉기) (4)조선시대 ①태종 이방원: 두차례에 걸친 왕좌의 난을 통해 정도전 등 개국공신 축출 ②세조의 계유정난: 수양대군(세조)이 어린 단종을 폐위시키고 세조로 즉위, 단종 복위를 추진한 성삼문, 박팽년 .. 2020. 10. 26. 한국사 요약 ) 현대사회 민주화운동 12. 현대사회 민주화 운동들 (3, 4, 5, 6) (1)박정희정부 – 유신체제 저항 ①3⦁1민주구국선언 (1976) -유신체제에 대한 저항 -탄압: 긴급조치 발동, 인혁당 재건위 사건 등 ②부⦁마 민주항쟁 (1979), YH무역사건 (2)이승만 정부 – 4⦁19혁명 (1960) ①3⦁15 부정선거: 자유당 정부가 부통령 후보인 이기붕을 당선시키기 위해 부정선거 자행 ②부정선거 규탄 시위 과정 중, 김주열 학생의 시신이 발견(마산) 되어 대학교수단이 시구 선언을 하고 시위 동감 ‘학생들의 피에 보답하라!’ ③이승만 대통령이 하야를 발표하고 허정 과도정부 수립, 3차 개정헌법 ->내각 책입제와 국회 양원제 (민의원, 참의원) (3)전두환 정부 – 5⦁18 민주화 운동 (1980) ①신군부가 비상계엄을 전.. 2020. 10. 26. 한국사 요약 ) 갑오개혁과 을미개혁 비교 11. 갑오개혁과 을미개혁 비교 (1)갑오개혁 1차 (1894) - 군국기무처 중심으로 개혁 진행 ①과거제 폐지, 노비폐지 ②과부재가 허용 ③은본위 화폐제도 실시 ④탁지아문으로 재정 일원화 ⑤6조를 8아문으로 개편 ⑥연좌율 폐지 (2)갑오개혁 2차 ①홍범 14조 발표: 고종이 종묘에 나가 독립 서고문 발표 ②8아문을 7부로 개편 ③지방행정구역을 8도에서 23부로 개편 ④교육입국 조서를 발표하여 한성 사범학교, 한성외국어학교 등 설립 (3)을미개혁 ①단발령 실시, 태양력 사용, 종두법 시행 ②‘건양’이라는 연호 제정 ③우체사 설치, 소학교 설치 한국사요약 ) 갑오개혁과 을미개혁 비교 PDF 파일입니다. 2020. 10. 26.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