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반란
(1)고대국가
①연개소문의 정변: 당의 침입에 대비하여 천리장성을 쌓던 중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영류왕을 제거하고 보장왕을 세움
(2)통일신라
①김흠돌의 난: 신문왕 때
②김헌창의 난, 장보고의 난 (청해진), 원종과 애노의 난 (진성여왕 때 사벌주에서), 적고적의 난 ->통일신라말
(3)고려시대
①왕규의난
②강조의 정변: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거란이 2차 침입
③무신집권기 반란: 망이 망소이의 난(공주명학소), 만적의 난(최충헌의 노비 만적), 김사미, 효심의 난(신라 부흥을 외치며 봉기)
(4)조선시대
①태종 이방원: 두차례에 걸친 왕좌의 난을 통해 정도전 등 개국공신 축출
②세조의 계유정난: 수양대군(세조)이 어린 단종을 폐위시키고 세조로 즉위, 단종 복위를 추진한 성삼문, 박팽년 등 사육신 처형
③함길도 토착 세력이 일으킨 이시애의 난: 세조때
④이인좌의 난: 영조때 소론이 지지한 경종이 일찍 사망하자 세제였던 영조가 즉위하면서 이인좌 등이 즉위 과정에 의혹을 제기하며 일으킨 반란
⑤중종반정(1506): 갑자사화 이후 연산군의 폭정에 대한 반발로 연산군을 축출하고 중종이 즉위
⑥인조반정(1623): 광해군의 인목대비 폐위와 영창대군 사사사건을 계기로 서인이 반정을 일으켜 광해군을 폐위시키고 인조가 즉위함
⑦이괄의 난: 이괄이 인조반정 이후 공신 책정에 불만을 갖고 일으킨 난 -> 왕이 도성을 떠나 공산성으로 피란함
⑧홍경래의 난(조선후기): 평안도(서북인)에 대한 차별대우로 정주성을 점령하는 등 반란을 일으킴
⑨임술농민봉기 (조선후기): 진주 백성들이 백낙신의 횡포로 봉기 (진주농민봉기)하며 환곡의 폐단 등을 시저해 줄 것을 요구하자 안핵사 박규수를 파견하여 삼정이저청을 설치하였지만 성과는 얻지 못함
'자격증 공부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요약 ) 사림의 대두, 사화, 붕당, 예송, 환국의 전개 (0) | 2020.10.26 |
---|---|
한국사 요약 ) 중농학파, 중상학파 요약 (0) | 2020.10.26 |
한국사 요약 ) 현대사회 민주화운동 (0) | 2020.10.26 |
한국사 요약 ) 갑오개혁과 을미개혁 비교 (0) | 2020.10.26 |
한국사 요약 ) 신민회와 신간회 (0) | 2020.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