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공부/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 1급

한국사 요약 ) 사림의 대두, 사화, 붕당, 예송, 환국의 전개

by 졸꾸러기 2020. 10. 26.

 

16. 사림의 대두, 사화, 붕당, 예송, 환국의 전개

 

(1)훈구와 사림

훈구: 조선 건국에 참여한 급진파 사대부 계승

사림: 조선 건국에 반대한 온건파 사대부 계승

세조의 집권을 도운 훈구 세력이 정치를 장악하자 이를 견제하기 위해서 성종때부터 사림이 등용되었고 주로 3사에 배치되어 훈구세력의 비리를 비판하는 역할을 하였음

사림은 훈구와의 대립으로 여러차례 사화를 겪었음

 

(2)16세기 전반 사화발생

 

(3)16세기 후반, 서 붕당 (1575~)

선조때 사림이 중앙정계를 장악한 후 척신 (임금의 외척이 되는 신하) 정치 처리 문제와 이조전랑 임명 문제 (사림 김효원과 심의겸)로 사림이 동인 (김효원을 지지)과 서인 (심의겸을 지지)으로 나뉘면서 붕당 정치 시작

 

(4)1589, 정여립 모반사건

동인 정여립이 모반을 꼬한다는 사건이 발생

서인인 정철이 사건을 조사하면서 동인이 큰 피해를 입음 (->기축옥사)

이후 서인이 집권

 

(5)정철의 건저의 사건

서인인 정철이 선조에게 광해군을 왕세자로 책봉할 것을 권의 -> 선조가 반발

서인 몰락, 동인 집권

 

(6)동인의 분화

서인에 대한 처벌 문제로 동인이 강경파인 북인과 온건파인 남인으로 분화

 

(7)17세기 후반 현종 때 예송 (1659~1675)

서인과 남인이 벌인 예송

1(효종의 죽음): 기년복(1) 주장한 서인 승리

2(효종비의 죽음): 기년복(1) 주장한 남인 승라

 

(8)17세기 후반 숙종때 환국 (1680 ~ 1694)

경신환국: 서인집권 ->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화

기사환국: 남인집권

갑술환국: 서인(노론과 소론) 집권


16. 사림의 대두, 붕당.pdf
0.06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