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공부/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 1급

한국사 요약 ) 고대국가, 고려시대 전투

by 졸꾸러기 2020. 10. 26.

18. 전투

 

(1)고대국가

광산성전투: 백제 성왕과 신라 진흥왕때 신라와 백제가 연합하여 한강유역을 일시 회복 -> 신라 진흥왕의 배신으로 백제 성왕 전사

대야성전투: 신라 선덕여왕때 백제 의자왕의 공격으로 신라 대야성 등 40여성이 함락되자 선덕여왕은 김춘추를 고구려에 파견하여 동맹을 요청하였으나 실패, 후에 진덕여왕때 김춘추를 당에 파견하여 나당연합 결성

중국 수나라 vs 고구려: 수 양제가 고구려 평양성 공격 -> 을지문덕의 살수대첩으로 고구려 승리 -> 수멸망, 당건국

안시성싸움: 연개소문 정변을 구실로 당나라가 고구려 공격-> 고구려 요동성 합락, 안시성싸움에서 고구려가 승리하고 당 철수

황산벌전투: 계백의 백제군이 김유신의 신라군에 맞서 황산벌전투 -> 백제의 수도 사비성이 함락되어 백제 멸망

백강전투: 백제 부흥운동때 신라와 당의 연합군이 백제와 왜를 물리침

매소성, 기벌포전투: 나당전쟁에서 신라 승리 후 삼국통일 (신라 문무왕)

 

(2)고려시대

공산전투: 고려가 후백제에 패함

고창전투: 고려가 후백제에 승

일리천, 황산전투: 고려가 신검의 후백제에 승리하여 후백제가 멸망, 후삼국통일

거란의 1,2,3차 침입: 서희, 양규, 강감찬(귀주대첩)

몽골 1,2차 침입: 귀주성전투, 처인성전투(김윤후)

강동성전투(1219): 고려, 몽골 연합군(여몽 연합)이 강동성에서 거란 정벌

 


18. 전투.pdf
0.0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