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 현대사회 민주화 운동들 (3, 4, 5, 6)
(1)박정희정부 – 유신체제 저항
①3⦁1민주구국선언 (1976)
-유신체제에 대한 저항
-탄압: 긴급조치 발동, 인혁당 재건위 사건 등
②부⦁마 민주항쟁 (1979), YH무역사건
(2)이승만 정부 – 4⦁19혁명 (1960)
①3⦁15 부정선거: 자유당 정부가 부통령 후보인 이기붕을 당선시키기 위해 부정선거 자행
②부정선거 규탄 시위 과정 중, 김주열 학생의 시신이 발견(마산) 되어 대학교수단이 시구 선언을 하고 시위 동감 ‘학생들의 피에 보답하라!’
③이승만 대통령이 하야를 발표하고 허정 과도정부 수립, 3차 개정헌법
->내각 책입제와 국회 양원제 (민의원, 참의원)
(3)전두환 정부 – 5⦁18 민주화 운동 (1980)
①신군부가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자 전남 광주에서 비상계엄 확대 저항 시위가 일어남
②시민들이 시민군을 편성하여 계엄군에 대항함
(4)전두환 정부 – 6월 민주항쟁 (1987)
①전두환 정부는 4⦁13호헌 조치를 발표하며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거부함
②개헌 요구 시위 중, 이한열 학생이 의식불명에 빠짐
③시민과 학생이 ‘호헌철폐, 독재타도, 민주헌법쟁취’ 구호
④6⦁29 민주화 선언: 노태우가 대통령 직선제 수용
⑤제9차 헌법 개정: 대통령 직선제, 5년 단입제
12. 현대사회 민주화운동들.pdf
0.06MB
'자격증 공부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요약 ) 중농학파, 중상학파 요약 (0) | 2020.10.26 |
---|---|
한국사 요약 ) 고대국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반란 정리 (0) | 2020.10.26 |
한국사 요약 ) 갑오개혁과 을미개혁 비교 (0) | 2020.10.26 |
한국사 요약 ) 신민회와 신간회 (0) | 2020.10.21 |
한국사 요약 ) 일본과 맺은 조약 (0) | 2020.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