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요약 ) 고려시대, 개항기 사회제도/문화
20. 사회제도, 문화 (1)고려시대 ①상평창 (성종): 물가 조절 기관 ②흑창 (태조) -> 의창 (성종): 구휼제도 ③동서 대비원: 개경에 설치, 질병 치료 ④혜민국: 서민 질병 치료, 병자에게 의약품 제공 ⑤구제도감, 구급도감: 각종 재해시 백성을 구제하는 임시기구 ⑥제위보: 빈민구제 재단 (2)개항기 ①교통, 통신, 전기 -경인선(1899), 경부선(1905), 경의선(1906) -우정총국(1884) ②의료: 광혜원 (알렌이 세운 최초의 서양식 병원) -> 제중원으로 명칭 변경 ③근대시설(1883) -기기창, 전환국(화폐), 박문국(한성순보) ④근대교육 -원산학사(1883): 최초의 근대식 사립학교, 원산에 설립 -육영공원(1886): 최초의 근대식 공립 교육기관, 할버트, 길모어 등 외국인 교사..
2020. 10. 26.
한국사 요약 ) 사림의 대두, 사화, 붕당, 예송, 환국의 전개
16. 사림의 대두, 사화, 붕당, 예송, 환국의 전개 (1)훈구와 사림 ①훈구: 조선 건국에 참여한 급진파 사대부 계승 ②사림: 조선 건국에 반대한 온건파 사대부 계승 ③세조의 집권을 도운 훈구 세력이 정치를 장악하자 이를 견제하기 위해서 성종때부터 사림이 등용되었고 주로 3사에 배치되어 훈구세력의 비리를 비판하는 역할을 하였음 ④ 사림은 훈구와의 대립으로 여러차례 사화를 겪었음 (2)16세기 전반 사화발생 (3)16세기 후반, 동⦁서 붕당 (1575~) ①선조때 사림이 중앙정계를 장악한 후 척신 (임금의 외척이 되는 신하) 정치 처리 문제와 이조전랑 임명 문제 (사림 김효원과 심의겸)로 사림이 동인 (김효원을 지지)과 서인 (심의겸을 지지)으로 나뉘면서 붕당 정치 시작 (4)1589, 정여립 모반사건..
2020. 10. 26.
한국사 요약 ) 중농학파, 중상학파 요약
15. 실학 (1)중농학파: 유형원, 이익, 정약용 ①유형원: 반계수록 저술, 균전론(신분에 따른 토지의 차등 분배) ②이익: 성호사설 저술, 한전론(매매금지), 나라를 좀먹는 여섯가지 폐단 지적 ③정약용 -여전론 주장(토지 공동소유, 공동경작 후 노동량에 따라 수확량 분배), -정전론 주장(전국 토지를 국유화 한 후 분배) -목민심서, 경세유포 저술 (2)중상학파: 유수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①유수원: 우서 저술, 사농공상의 직업적 평등 주장 ②홍대용: 의산문답 저술, 지전설을 주장하고 혼천의 제작 ③박지원: 열하일기, 양반전, 허생전 ④박제가: -북학의 저술 -절약보다 소비를 통한 생산력 증대 필요성 주장 -수레와 선박의 이용 확대 등을 주장
2020. 10. 26.
한국사 요약 ) 고대국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 반란 정리
13. 반란 (1)고대국가 ①연개소문의 정변: 당의 침입에 대비하여 천리장성을 쌓던 중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영류왕을 제거하고 보장왕을 세움 (2)통일신라 ①김흠돌의 난: 신문왕 때 ②김헌창의 난, 장보고의 난 (청해진), 원종과 애노의 난 (진성여왕 때 사벌주에서), 적고적의 난 ->통일신라말 (3)고려시대 ①왕규의난 ②강조의 정변: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거란이 2차 침입 ③무신집권기 반란: 망이 망소이의 난(공주명학소), 만적의 난(최충헌의 노비 만적), 김사미, 효심의 난(신라 부흥을 외치며 봉기) (4)조선시대 ①태종 이방원: 두차례에 걸친 왕좌의 난을 통해 정도전 등 개국공신 축출 ②세조의 계유정난: 수양대군(세조)이 어린 단종을 폐위시키고 세조로 즉위, 단종 복위를 추진한 성삼문, 박팽년 ..
2020. 10.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