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요액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대국가 기출 선택지
고대국가 기출 선택지
1. 건원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신라 법흥왕
2. 사료 ) 전진 왕 부견이 사신과 승려 순도를 파견하여 불상과 견문을 보내왔다. 왕이 사신을 보내 답례로 방물을 바쳤다. 태학을 세우고 자제를 교육시켰다 고구려 소수림왕
3. 신라에 침입한 왜를 격퇴하였다
고구려 광개토대왕
4. 국호를 신라로 정하고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 지증왕
5. 김씨에 의한 왕위 계승권을 확립하였다 내물왕
6. 백제가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였다 근초고왕
7. 마한의 묵지국을 압도하고 지역의 맹주로 발돋음하였다 백제
8. 백제의 한성을 공격하여 개로왕을 전사시켰다 장수왕
9. 사료 ) 박제상의 부인은 바다가 보이는 차술령에 올라가 울다가 굳어져 망부석이 되었다 신라 눌지왕
10. 백제와 동맹을 맺어 고구려의 남진에 대항하였다 눌지왕
11. 사료 ) 신라를 습격하기 위해 왕이 직접 보병과 기병 50명을 거느리고 밤에 구천에 이르렀는데 신라 복병과 만나 싸우다가 신라군에 살해되었다
백제 성왕
(성왕은 고구려에 빼앗긴 한강 유역을 회복하기 위해 신라 진흥왕과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함으로써 일시적으로 한강 유역을 회복하였다. 그런데 진흥왕의 배신으로 진흥왕이 한강 유역을 독차지하자 이를 보복하기 위해 신라를 공격하다가 살해되었다)
12. 문제자료 – 순서 )
①589년 수의 통일
②612년 살수대첩
③618년 당의건국
④645년 안시성전투
⑤660년 황산벌전투 ( 사비성함락)
⑥663년 백강전투
⑦668년 평양성함락
⑧676년 기벌포전투
13. 검모잠이 안승을 추대하여 한성에서 부흥운동을 전개하였다
고구려 부흥운동
14. 복신과 도침이 부여풍을 추대하여 주류성에서 봉기하였다 백제 부흥운동
15. 관리채용을 위해 독서삼품과를 시행하였다 원성왕
16. 자장의 건의로 황령사 9층목탑을 건립하였다 선덕여왕
17. 사료 ) 설총이 아첨하는 미인 장미와 충언하는 할미꽃을 두고 누구를 택할까 망설이는 화왕에게 ~
화왕계 ) 설총이 신문왕에게 꽃을 의인화하여 유교적 도덕주의를 지킬 것을 건의한 단편산문
18. 사료 ) 서울과 지방의 관리에게 지급하던 월봉을 없애고 다시 녹읍을 주었다 신라 경덕왕
19. 사료 ) 여러 신하들이 왕의 유언에 따라 동해 입구의 큰 바위 위에서 장례를 치렀다. 왕이 변해 용이 되었다고 해서 세상에 전하므로 그 바위를 가리켜서 대왕석이라고 한다 문무왕
20. 사료 ) 그는 동해의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는 유언을 남긴 선왕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감은사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신문왕
21. 솔빈부의 특산물인 말을 판매하는 상인 발해 ( 솔빈부 : 발해 15부 중 하나 )
22. 사료 ) 중대성이 일본국 태정관에게 보내는 첩 – 귀국에 가서 알현할 사신 정당성 좌윤 하복연과 그 일행 105명을 파견합니다 발해
23. 문제자료 ) 이름 : 대흥무, 자녀 : 정혜공주, 정효공주 등 발해 문왕
24. 집사부 외 13부를 두고 행정 업무를 분담하였다 통일신라
25. 문제자료) ‘토황소격문’으로 알려져 있는데, 난을 일으킨 황소가 이것을 읽다가 놀라서 자신도 모르게 평상에서 떨어졌다는 일화로 유명하다 최치원 (신라말)
26. 한자의 음과 훈을 차용한 이두를 체계적으로 정리 설총
27. 명망 높은 승려들의 전기를 정리한 해동고승전을 남겼다 각훈
28. 사료 ) 혜공왕 말년에 변신들이 제멋대로 날뛰자 ~ 신라말
29. 9산 선문 중 하나인 실상산무이 개창되었다 신라말
(신라말, 선종불교의 유행으로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선종사원을 9산선문이라고 한다)
30. 자료 ) ‘이 문서에는 촌락마다 호의 등급과 변동상황, 성별, 연령별, 인구의 규모가 파악되어 있으며 ~ 신라
(신라의 민정문서, 이는 조세 징수를 목적으로 촌주에 의해 작성됨)
31. 문제자료 – 순서 )
관료전 지급(신문왕) 녹읍폐지(신문왕) 정전지급(성덕왕) 녹읍부활(경덕왕)
32. 청해진을 중심으로 해상 무역이 전개되었다 통일신라
33. 담비 가죽과 인삼, 자기 등을 수출하였다 발해
34. 당에 신라방을 형성하여 활발히 교역하였다 통일신라
35. 무덤의 둘레돌에 12지신상을 새겼다 김유시묘 (굴식돌방무덤)
36. 왕인은 일본에 천자문과 논어를 가르쳤다 백제
37.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초제와 관련이 있다 도교
38. 현세의 고난에서 구제받고자 하는 관음신앙을 강조하였다 의상
39. 낙산사와 부석사 등을 창건하였고 화엄사상을 바탕으로 조화를 강조하였다 의상
40. 무애가를 지어 불교 대중화에 기여함 원효
41. 모든 진리는 한 마음에서 나온다는 일심사상을 주장, 대승기신론소, 십문화쟁론을 저술 원효
42. 사료) 김춘추가 무릎을 꿇고 아뢰기를…, 만약 폐하께서 당의 군사를 빌려 흉악한 무리를 잘라 없애지 않는다면…, 태종이 매우 옳다고 여겨서 군사의 출동을 허락하였다 나⦁당 연합군 결성 (신라 통일 전)
43. 신라와 당의 연합군이 백강에서 왜군을 물리쳤다 백강전투 (이후, 백제 멸망)
44. 당이 안동도호부를 요동지역으로 옮겼다 나⦁당 전쟁 이후
45. 수와 외교관계를 맺고 친선을 도모하였다 백제 무왕
46. 계백의 결사대를 보내 신라군에 맞서 싸웠다 백제 의자왕
47. 위홍과 대구화상에게 삼대목을 편찬하게 하였다 진성여왕
48. 이문진이 유기를 간추린 신집을 편찬하였다 영양왕 (7세기)
49. 고구려가 후연을 공격하고 요동 땅을 차지하였다 광개토대왕
50. 백제의 대표적인 5층 석탑 정림사지 5층석답 (부여)
51. 문제자료 )
- (가야) 수로왕의 12대손
- 화랑이 되어 용화 향도를 이끔
- 비담과 염종의 반란 진압
- 무열왕의 딸인 지소와 결혼
- 삼국통일에 기여
김유신
52. 황산벌에서 계백이 이끄는 군대를 물리쳤다 김유신
'자격증 공부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요약 ) 4-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조선시대 기출 선택지1 (0) | 2020.08.10 |
---|---|
한국사 요약 ) 3-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려시대 기출 선택지 (0) | 2020.08.10 |
한국사 요약 ) 1-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선사시대 기출 선택지 (0) | 2020.08.02 |
한국사 요약 정리 ) 8. 현대사회 요약 (0) | 2020.07.28 |
한국사 요약 정리 ) 7. 일제강점기 요약 (0) | 2020.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