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만 콕! 바로 쓰는 사무행정 실무 – 진행평가
1. 기안 작성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명확하게 작성한다
②정확하게 작성한다
③전문용어 (한자, 영어 등)를 활용하여 작성한다
④성실하고 예의 바르게 작성한다
정답: 3번 (기안작성시 상대방이 이해하기 쉽도록 한자나 영어의 전문용어 사용은 지양한다)
2. 문서 작성의 기본원칙에 대해 잘못 설명하고 있는 것은?
①잘못된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최대한 자세히 정리한다
②문서의 정확성을 기해아 한다
③문서는 누가 읽어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한다
④제목만 보더라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작성해야 한다
정답: 1번 (문서는 간결하게 핵심 부분만 명확하게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문서 구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사문서란 개인이 사적인 목적으로 작성한 문서를 의미한다
②사내문서는 기업 내부에서 유통되는 문서이다
③사외문서는 기업 외부로 유통되는 문서이다
④장표란 일정하지 않은 사무문서이다
정답: 4번 (장표란 일정한 약식에 인쇄하여 필요한 사항을 쉽게 기입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문서이다)
4. 업무 문서의 분류에 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업무 문서의 분류는 문서관리에서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작업 단계이다
②문서의 분류는 분장업무의 특성 및 문서의 종류와 양을 감안하여 분류한다
③부서장의 결정에 따라 합리적인 업무 분류가 선행되어야 한다
④문서는 업무 기능별로 3차까지 분류함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3번 (업무 문서의 분류는 부서장 중심으로 부서원의 전원합의하에 합리적인 업무 분류가 선행되어야 한다)
5. 문서 분류 방법에 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문서의 분류는 기업과 부서에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②많은 기업들은 부여된 번호를 중심으로 파일링 한다
③문서가 필요로 된 날짜에 근거하여 문서를 정리할 때는 연대순 파일링 가장 적절하다
④알파벳과 번호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파일링은 수,문자 파일링이다
정답: 1번 (문서의 분류는 기업별, 부서별 활용방법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진다)
6. 문서의 종류별로 설정되어야 하는 보존연한 중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
①등기, 소송 및 지적재산권에 관한 문서: 영구
②예산에 관한 문서: 5년
③노동법에 의한 문서: 3년
④감사 관계 문서: 3년
정답: 4번 (감사 관계 문서의 보존 연한은 5년이다)
7. 문서의 보관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문서의 보관방법은 집중식, 분산식, 절충식 관리 등이 있다
②집중식 관리는 문서 분실의 우려가 없으나, 어느 부서든지 이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③분산식 관리는 각 부서에서 문서를 직접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④절충식은 정부나 대기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정답: 2번 (집중식 관리는 분실의 우려가 없으며 어느 부서든지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8. 자료(데이터) 수집에 대해 잘못 설명하고 있는 것은?
①데이터 수집은 의사결정이나 문제해결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②필요한 데이터를 모을 수 있는 원천을 데이터베이스라고 한다
③데이터원은 1차 데이터와 2차 데이터로 구분된다
④1차 데이터는 원래의 연구 성과가 기록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정답: 2번 (필요한 데이터를 모을 수 있는 원천을 데이터 원이라고 한다)
9. 자료(데이터) 조사의 유형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탐색 조사는 정밀한 조사를 위해 가설을 수립하기 위해 사용된다
②탐색 조사는 조사 우선순위를 정하거나, 문제에 대해 조사자의 기본 지식 축적 및 개념의 명확화를 위해 사용된다
③기술 조사의 종류에는 수직 분석과 수평 분석이 있다
④인과 조사에서 조작하는 변수는 독립 변수라고 한다
정답: 3번 (기술 조사의 종류에는 종단 분석과 횡단 분석이 있다)
10. 자료(데이터) 분석의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데이터는 변수에 대한 분포가 어떠한지 파악되어야 한다
②데이터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방법으로는 아노바 분석이 사용된다
③통계 기법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조사 목적에 맞는 기법을 선정해야 한다
④변수에 대한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빈도 분석이 활용된다
정답: 2번 (데이터의 타당성은 요인분석을 통해 실시한다. 아노바 분석은 평균비교시 활용한다)
'자격증 공부 > 직업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최고의 성과를 이루는 기적의 업무력 - 과제 C형 (0) | 2020.09.06 |
---|---|
6. 핵심만 콕! 바로 쓰는 사무행정 실무 - 최종평가 (0) | 2020.09.04 |
4. 최고의 성과를 이끄는 기적의 업무력 - 최종평가 (0) | 2020.08.29 |
3. 최고의 성과를 이끄는 기적의 업무력 - 진행평가 (0) | 2020.08.25 |
2. 스마트 사원이 알아야 할 알기쉬운 재무지식 - 최종평가 (0) | 2020.08.24 |